안전장치설명
✨ 슈일드(Shield) | 치프 및 절삭유 비사를 방지하는 퍼런 더개. 작업자 및 기계사이에서 위험을 제안. |
✂️ 치프 브레이커 | 절삭 개정 중 발생하는 치프를 제거\uud558거나 잘라내는 장치. |
⛓️ 체카 커버 | 고정 및 방지 기능. 작업자 및 가공물에서 위험 발생 방지. |
⚖️ 브레이크 | 회전 정지 및 스크립 조절. |
고속 회전으로 인해 위험 요소가 많은 원심기!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기계 수명 연장을 위해 반드시 다음의 안전 수칙과 방호장치를 준수해야 해요.
🧪 기계 점검 | 작업 전 원심기 외관, 회전부, 전원선 등을 점검 |
🔍 덮개 확인 | 회전부 위에 설치된 덮개가 확실히 닫혀 있는지 확인 |
🚷 작동 중 접근 금지 | 작동 중에는 절대 손이나 물건을 넣지 말 것 |
🛠 편심 부하 금지 | 회전체의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해 균형 맞게 시료 배치 |
❌ 균열 및 이상 소음 점검 | 이상한 소리가 날 경우 즉시 정지 후 점검 |
⏹ 비상 정지 스위치 확보 | 작업자가 쉽게 조작 가능한 위치에 비상 정지 스위치 설치 |
🧱 덮개 | 회전 중 시료의 이탈이나 파편 비산 방지용. 반드시 닫힌 상태에서만 작동되도록 설계 |
🧰 방호울 (Safety Housing) | 회전체 자체를 둘러싸는 울타리 구조로, 접촉 및 파편 위험 차단 |
🛑 인터록 장치 | 덮개가 열려 있으면 기계 작동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설정 |
🔄 회전수 감시 센서 | RPM 이상 상승 시 자동으로 작동 중지 또는 경고 발생 |
👷♂️ 경고표지 | “작동 중 접근 금지” 표지 부착 및 주의 안내 라벨 부착 |
원심기는 정밀 장비이자, 고속 회전체라는 특수성을 갖기 때문에
덮개 설치 + 인터록 시스템 + 균형 작업이 필수예요.
🔒 *"한 번의 방심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꼭 기억해주세요!
✅ 종류 | 전동식, 내연기관식 지게차 |
⚙ 안전장치 | 안전벨트, 백업 알람, 오버헤드 가드, 경광등 |
🔍 점검사항 | 타이어 공기압, 오일 상태, 제동장치, 경보장치, 전조등 점검 |
📚 운영조건 | 지게차 면허 필수, 협소 공간 주의, 하중 초과 금지 |
🔔 주의사항: 하중을 높이 들어올릴 때 속도 줄이고 시야 확보!
곡선 주행 시 감속 운행 필수!
✅ 종류 | AGV(무인운반차), 컨베이어 시스템 등 |
⚙ 방호장치 | 안전 펜스, 감지 센서, 비상 정지 버튼 |
🔍 점검사항 | 센서 작동 여부, 정렬 상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 운영조건 | 지정된 경로만 주행, 인력과의 동선 분리 필수 |
🤖 팁: AGV는 사람과 같은 통로 금지! 자동 운행 시 비상 대응 체계 필요.
✅ 종류 | 벨트식, 체인식, 롤러식 컨베이어 |
⚙ 방호장치 | 롤러 커버, 긴급 정지 스위치, 이탈 방지 가이드 |
🔍 점검사항 | 벨트 장력, 이탈 여부, 롤러 마모 점검 |
📐 운영조건 | 작동 중 손대지 않기, 물건 끼임 주의, 양 끝단 가드 설치 |
⚠️ 주의: 컨베이어는 **"물림사고"**가 빈번한 장비!
손 넣지 않기, 긴 옷 조심!
✅ 종류 | 오버헤드 크레인, 모바일 크레인, 타워 크레인 |
⚙ 방호장치 | 후크 가드, 과부하 방지장치, 경고 알람 |
🔍 점검사항 | 와이어로프 상태, 후크 이상 유무, 브레이크 기능 |
⚠️ 운영조건 | 작업반경 확보, 하부 출입 금지, 자격소지자만 조작 |
🧲 팁: 후크는 항상 정중앙에 위치해야 하며
로프는 10% 이상 마모 시 즉시 교체!
✅ 종류 | 체인블럭, 전동 윈치, 와이어 로프 등 |
⚙ 방호장치 | 비상 정지 스위치, 주행 제한 스위치 |
🔍 점검사항 | 로프 마모, 체인 균열, 브레이크 작동 여부 |
💡 운영조건 | 하중표시 확인, 작업자 안전 거리 확보 |
🔩 팁: 양중작업 시에는 "하중 계산 필수",
지지대 고정, 주변 통제 라인 설치!
✅ 브레이크 작동 여부
✅ 경고등, 알람, 비상 정지 버튼 작동 확인
✅ 와이어/체인/벨트의 손상 여부
✅ 유압/전기 시스템 누유 또는 누전 점검
✅ 조작자 교육 여부 및 면허 보유 확인
2025.03.12 - [분류 전체보기]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5 기계분야 산업재해 조사 및 관리)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5 기계분야 산업재해 조사 및 관리)
📌 용어 정의용어정의특징산업재해업무 중 발생한 사망, 부상, 질병출퇴근 재해 포함중대재해사망자 1명 이상, 부상자 2명 이상 또는 10명 이상 피해자 발생중대산업재해/시민재해로 구분중대
parkinman.com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0. 정전기 재해 관리) (2) | 2025.03.17 |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9 감전재해 및 방지대책) (2) | 2025.03.16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8 전기안전관리) (0) | 2025.03.15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7 설비 진단 검사) (2) | 2025.03.14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5 기계분야 산업재해 조사 및 관리) (0) | 2025.03.12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4 기계 공정의 안전) (4) | 2025.03.11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3 작업환경 관리) (2) | 2025.03.10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2 유해요인 관리)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