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4 기계 공정의 안전)

산업안전기사

by Park In Man 2025. 3. 11. 18:22

본문

반응형

출처 : 안전보건관리위원회 기계에 의한 위험 요인

 

📐 설계도 검토 시 필요한 사항

설계도는 단순한 도면이 아니라, 실제 공정의 시작점입니다. 다음 항목들을 반드시 체크해야 해요!

 

✅ 검토 항목🔎 세부 내용

현장 조건 부합 여부 도면이 실제 현장 조건과 맞는지 확인
시공 가능 여부 실제 시공이 가능한 도면인지 검토
공정 간 상호 부합 다른 공정과의 충돌 여부 확인
오류 및 누락 여부 잘못된 도면, 빠진 내용, 불명확 표현 점검
품질 및 비용 절감 개선 여지 확인으로 비용 절감 가능성 탐색
안전 관련 사항 시공 중/후 안전 확보 여부 확인
법적/규제 준수 법령 및 표준 기준에 맞는지 검토
환경 영향 평가 친환경 시공 가능성 검토
예산 및 일정 준수 프로젝트 전체 계획과의 일치 여부 점검
설계 일관성 전체 흐름의 논리적 연결성 확인

 

 

📊 품질 개선을 위한 주요 분석 도구

🧰 분석 도구 📘 정의 🎯 목적 🔍 사용 사례
파레토도 문제의 원인이나 현상을 막대그래프로 시각화 중요한 소수의 원인 집중 개선 불량 원인 분석, 개선 우선순위 결정
특성요인도 문제의 인과관계를 물고기뼈 형태로 도식화 근본 원인 파악 및 해결책 도출 불량, 불편 원인 찾기
클로즈 분석 데이터에서 누락 정보 추론 숨겨진 의미 발견 및 방향 제시 설문 결과 해석, 고객 반응 분석
관리도 시간 경과에 따른 공정 상태 시각화 공정 이상 탐지 및 품질 유지 품질관리, 공정 안정성 확보

 

 

🦺 안전작업절차서(SOP)란?

  • 정의: 작업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순서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문서
  • 목적: 사고 예방과 일관된 작업 수행
  • 구성요소:
    • 작업 순서 및 조건
    • 예상 위험 및 대책
    • PPE 착용법
    • 법령 및 규정 반영
  • 활용법:
    • 교육자료, 작업지침서로 사용
    • 정기 업데이트와 피드백 반영

💬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 기계공정에서의 주요 위험요소

🔄 운동 형태 ⚠️ 위험 요인 🚨 위험점
회전운동 부품과 고정부 간 접촉 끼임점, 물림점
왕복운동 협착, 압착 협착점, 압착점
미끄럼운동 충돌, 끼임 마찰로 인한 사고
회전+미끄럼 복합 말림 위험 다양한 끼임 위험
진동운동 불안정성, 충돌 진동성 사고
절단운동 날카로운 도구 사용 절단점, 손상 위험

 

🔒 기계 설비의 본질적 안전화 개념

🧠 Fail Safe 기능

  • Fail-Passive: 고장 시 정지
  • Fail-Active: 경보 후 일정 시간 작동
  • Fail-Operational: 고장 나도 작동 유지

🛡 Fool Proof 설계

  • 격리: 조작부 차단
  • LOCK: 올바른 동작만 가능
  • Interlock: 기계 상호 연동 잠금

 

🛠 기계 안전 조건

  • 외형의 안전화: 날카로운 부위 덮개, 미끄럼 방지
  • 작업의 안전화: 안전 교육, PPE 제공
  • 작업점의 안전화: 가드 설치
  • 기능의 안전화: 비상 정지 버튼, 자동 정지
  • 구조의 안전화: 재료 선정과 설계
  • 보전작업의 안전화: 점검과 예방보전

🧾 점검 항목 정리

정지 상태 점검: 급유, 방호장치, 체인, 슬라이드 상태 확인 등

운전 상태 점검: 베어링 과열, 진동, 이상음, 기어 맞물림 등

 

🧭 기계 Layout 시 유의사항

  • 공정 흐름과 동선 고려
  • 방호장치와 안전 통로 확보
  • 유지보수 용이성 확보
  • 향후 확장 가능성 고려
  • 법적 규정과 친환경 요소 반영

 

🛡 기계 방호장치와 가드 종류

장치 역할 예시
고정 가드 영구적으로 고정된 방호 밀폐형 덮개
자동 가드 작동 시 자동 개폐 프레스 기계 가드
인터록 가드 위험 시 작동 정지 세탁기 도어 잠금
트립 가드 접촉 시 작동 중지 접촉형 트립바

 

 

🧱 기초역학 핵심 용어

  • 응력 (Stress): F/A
  • 전단응력: τ = F/A
  • 굽힘응력: σ = My/I
  • 비틀림응력: τ = Tr/J

📏 기계 구조의 강도 계산에 필수!

 

 

🧨 구조적 결함과 예방

유형 원인 설명
설계 결함 계산 오류 등 하중 분석 오류 등
재료 결함 부식, 내부 결함 비적합 재료 사용
가공 결함 잘못된 조립 취약한 구조 유발
 

📉 고장 곡선 = 욕조 곡선

  • 초기고장 (DFR): 제조결함 많음 → 디버깅 필요
  • 우발고장 (CFR): 일정한 고장률 → 예방보전 필요
  • 마모고장 (IFR): 수명 도달 후 급격한 고장 → 예지보전, 교체

 

🔁 보전성 지표

지표 수식 설명
MTBF 총 작동 시간 / 고장 횟수 평균 고장 간격
MTTR 총 복구 시간 / 고장 횟수 평균 복구 시간
Availability MTBF / (MTBF+MTTR) 가동성
고장률 1 / MTBF 시간당 고장 횟수
 

🧰 보전 전략 4가지

전략 정의 설명
PM 예방 보전 정기점검 및 사전 수리
BM 고장 후 보전 고장 발생 후 보수
MP 보전 예방 설계부터 고장 최소화 고려
CM 개량 보전 고장 후 성능 개선

 

 

정리 마무리

기계공정은 설계부터 점검, 방호까지 다각도로 분석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안전과 효율, 품질을 동시에 잡기 위해서는 기초이론과 현장 적용을 모두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3 작업환경 관리)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3 작업환경 관리)

✅ 인간 계측 및 체계제어의 모든 것작업 환경과 안전 설계에 있어 인간공학적 접근은 필수입니다. 오늘은 인간 계측 자료의 설계 원칙부터 작업환경, 반응 시간, 중량물 취급법까지 실무자가

parkinman.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