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1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산업안전기사

by Park In Man 2025. 3. 7. 17:00

본문

반응형

근골격계 유해 요인

출처 : 산업안전관리공단

💪 근골격계질환이란?

근골격계질환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과도한 힘 사용, 진동, 날카로운 면 접촉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장해입니다.
주로 목, 어깨, 허리, 팔, 다리의 신경·근육·인대·힘줄 등 신체 조직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생산성 저하와 이직, 재해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유해요인 조사 및 관리

🔁 조사 시기

  • 정기 조사: 3년마다 실시
  • 수시 조사: 다음의 경우 즉시 실시
    1. 근골격계질환 발생 시
    2. 새로운 부담작업 도입 시
    3. 작업환경 변경 시

🛠️ 조사 방법

  • 전수조사 원칙
  • 유사 작업 조건일 경우 일부 표본조사 가능

📌 조사 내용

  1. 설비, 작업공정, 작업량, 속도
  2. 작업시간, 자세, 방법 등 조건
  3. 근골격계 증상 유무, 징후 조사

🎯 영향 요인

  • 작업 관련: 반복동작, 부적절한 자세, 과도한 힘
  • 개인 요인: 나이, 성별, 습관
  • 작업환경: 진동, 온도 등

⚙️ 근골격계 유해요인 관리 전략

구분주요 내용측정 방법

작업 환경 개선 작업대 높이 조절, 자동화 설계 평가, 작업자 피드백
근로자 교육 올바른 자세, 스트레칭 훈련 교육 평가, 만족도 조사
작업 순환 & 휴식 교대작업, 충분한 휴식시간 피로도 평가, 시간 분석
유해요인 조사 반복동작, 진동, 무리한 힘 등 증상 설문지, 조사표 활용
정기 평가 & 개선 3년 주기 조사, 필요 시 수시 분석 결과 바탕 개선 계획

🧠 문제해결 절차와 활동 기법

🔎 문제 해결 절차

  1. 문제 인식: 전반적 이슈 파악 및 목표 설정
  2. 문제 도출: 우선순위 정하고 구체화
  3. 원인 분석: 근본 원인 추적
  4. 해결안 개발: 최적의 실행 방안 수립
  5. 실행 및 평가: 장애요인 제거, 결과 평가

🔧 무재해 실현을 위한 소집단 활동

기법 특징 효과
브레인스토밍 자유 아이디어 발산 창의적 해결책 도출, 팀워크 증진
TBM (Tool Box Meeting) 작업 전 위험예지 훈련 작업자 공감대 형성, 위험 인지 향상
지적확인운동 손가락으로 지시하며 확인 사고 예방, 정확도 향상
터치앤콜 구호 외침과 신체 접촉 동료애 증진, 팀 집중력 강화
STOP 기법 행동

 

🚨 위험예지 훈련 단계별 구성

단계 특징 효과
도입 정렬, 인사, 건강체크 집중력 향상, 분위기 조성
1R: 현상파악 잠재 위험 요소 식별 위험 인식 향상
2R: 본질추구 주요 위험 요소 선정 우선순위 설정
3R: 대책수립 실행 가능한 대책 3가지 제시 실제적 해결책 확보
4R: 목표설정 행동목표 설정 및 구호 외침 팀 단합 강화
확인 지적확인 및 터치앤콜 안전의식 고취

 

🛠️ 작업개선안 도출 원리

💡 개선 4원칙 (ECRS)

  • Eliminate (배제): 불필요한 요소 제거
  • Combine (결합): 작업 통합
  • Re-arrange (교환): 작업 순서 변경
  • Simplify (간략화): 단순화

🧩 관리적 개선

  • 절차 수정, 작업속도 조절, 회복시간 확보
  • 습관 변화 유도, 적정 인력 배치

⚙️ 공학적 개선

  • 설비 및 도구 개선
  • 작업 환경 재설계
  • 위험 요인 제거 또는 최소화

효과: 근골격계질환 예방, 작업 효율 증가, 피로도 감소

 

✍️ 마무리하며

근골격계질환은 예방이 가능합니다.
작업자 중심의 인체공학적 설계, 체계적인 유해요인 조사,
소통 기반의 무재해 활동을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건강한 몸이 건강한 작업을 만든다!”

 

2025.03.07 - [분류 전체보기]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0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과 실행)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