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8 안전과 인간공학)

산업안전기사

by Park In Man 2025. 3. 5. 12:57

본문

반응형

출처: 홍대 신문

 

🧠 인간공학이란?

**인간공학(Ergonomics)**은 단순한 설계가 아니라,
**‘사람을 중심에 두고 환경과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과학’**입니다.

 

 

✔ 정의

인간과 다른 시스템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간의 복지와 시스템 효율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디자인 기법.

 

🎯 목적

  • 작업자의 안전성과 작업 능률 향상
  • 산업재해 및 직무 손실 감소
  • 생산원가 절감 및 품질 개선
  • 근로자 만족도와 사기 증진
  • 기업 경쟁력 및 이미지 제고
  • 노사 간 신뢰 구축

 

📏 인간공학에서 사용되는 기준들

기준 유형세부 내용
인간 기준 퍼포먼스 척도, 생리지표(심박수, 근전도 등), 주관적 평가
체계 기준 시스템 신뢰성, 장비 조작성, 정비성, 공학적 수치 등
기준 요건 신뢰성, 타당성, 민감도, 객관성, 비용 효율성 등

 

🔍 인간공학의 연구 방법과 기대 효과

구분내용
연구 방법 조사연구, 실험연구, 평가연구, 인체측정학, 생리학적 측정, 설문조사 등
기대 효과 건강 장해 예방, 결근율 감소,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불량품 감소, 조직 이미지 향상 등

 

🧩 인간공학의 적용 분야

분야적용 사례
물리적 인간공학 작업장 설계, 인체공학 의자·책상, 올바른 자세 교육
인지적 인간공학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 매뉴얼 작성, 교육 콘텐츠 설계
조직적 인간공학 작업시간 관리, 팀 커뮤니케이션 개선, 팀워크 강화
조명 설계 적절한 밝기 조절, 시력 보호
중량물 취급 트롤리 사용, 무릎 보호 설계
컴퓨터 환경 모니터 위치 조절, 손목 받침대 사용
창의적 작업 공간 유연한 자세, 스탠딩 데스크 등
움직임 유도 걷기 회의, 계단 이용 장려, 동선 설계 개선

🤖 인간-기계 체계란?

인간공학에서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인간-기계-환경 시스템’**입니다.

사람과 기계가 함께 협력하여 기계만으로는 낼 수 없는 높은 성과를 내는 시스템입니다.

시스템 기능 흐름

  1. 감지 – 정보 수집
  2. 정보 저장 – 기억 또는 기록
  3. 정보 처리 및 의사결정 – 분석 및 판단
  4. 행동 기능 – 실행
  5. 출력 – 결과 전달

⚙ 시스템 설계 유형별 분류

시스템 유형특징
수동 시스템 인간이 도구를 직접 조작 (예: 목수와 망치)
기계 시스템 동력은 기계, 제어는 인간 (예: 자동차)
자동 시스템 기계가 대부분 자동 수행, 인간은 감시·보전 (예: 자동화 설비)
사이버-물리 시스템 디지털+물리 통합, IoT 기반 (예: 스마트 시티, 자율차 등)

🛠 시스템 설계 단계

  1. 목표 명세 – 시스템이 왜 필요한가?
  2. 시스템 정의 – 수행할 기본 기능 정의
  3. 기본 설계 – 직무 분석, 기능 분배 등
  4. 인터페이스 설계 – 사용자와 시스템의 상호작용 설계
  5. 보조물 설계 – 인간 성능 향상을 위한 보조 도구 개발

💓 감성공학이란?

 

인간의 감정, 감성, 느낌 등을 정량화해
제품 개발이나 작업 환경 설계에 반영하는 인간공학의 하위 분야입니다.
예: 자동차 대시보드의 질감, 색상, 촉감 등

 

❌ 휴먼에러(Human Error)의 이해

💥 인간 실수의 유형

분류 기준실수 유형
행동 기준 (Swain) 생략 오류, 시간 오류, 작위 오류, 순서 오류, 과잉행동 오류
원인 기준 1차 에러(개인의 실수), 2차 에러(연쇄적), 지시 에러(상급자의 잘못된 지시)

🧮 시스템 성능과 인간 오류의 관계식

S.P = K(H.E)

  • K ≈ 1 → 인간 실수가 시스템에 큰 영향
  • K = 0 → 영향 없음
  • 0 < K < 1 → 리스크 존재

🔍 휴먼에러의 4M 분석

요인설명예시
Man (인적요인) 주의력 부족, 피로, 정보 부족 보호구 미착용, 작업 실수
Machine (기계요인) 설비 결함, 점검 부족 오작동, 오경보
Media (환경요인) 소음, 조명, 작업자세 공간 협소, 유해 환경
Management (관리요인) 교육 미비, 절차 미비 안전계획 부재, 관리 소홀

 

📊 인간실수 확률 추정 기법

기법명약어개념
위급사건기법 CIT 사고 사례 기반 실수 분석
직무위급도 분석법 TCRAM 작업 중요도 기반 분석
인간 실수율 예측기법 THERP 정량적 예측 기반 종합 분석
사건수 분석 ETA 사고 발생 흐름 분석
결함수 분석 FTA 사고의 원인 역추적
MORT MORT 조직 및 관리 위험 분석
CREAM CREAM 인지적 오류 분석

✅ 휴먼에러 예방 기법

오류 상황예방 기법 (인간공학적 안전설정)
부주의 Fail Safe – 실수해도 안전하게 설계
착각 Fool Proof – 바보도 실수 없이 작동 가능
유사 항목 혼동 인터록 장치 – 순서나 단계 제한 설계
복잡한 절차 의사소통 및 간소화
작업자 한계 작업환경 개선 – 리프트, 높이 조절 도구 등
낙하물 위험 지게차 활용, 안전 배치
바닥 위험 미끄럼 방지, 동선 정리

마무리하며 💬

인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설계가 곧 최고의 안전 대책입니다.

사람의 신체, 인지, 감성을 고려하지 않은 시스템은 언젠가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산업현장에서도 더 이상 기계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 설계로 바뀌어야 할 때입니다.

 

2025.03.04 - [산업안전기사]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7-2 안전보건교육의 내용 및 방법)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7-2 안전보건교육의 내용 및 방법)

1. 교육 실시 방법의 종류교육 방법특징장점단점강의법일방향 정보 전달 중심많은 정보 전달 가능, 대규모 교육에 적합참여 부족, 개별 차이 반영 어려움토의법쌍방향, 학습자 중심비판적 사고

parkinman.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