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압 방폭 (Ex d) | 폭발을 용기 안에 가두고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설계 | Zone 0, 1 / 전동기, 제어기 등 |
💨 압력 방폭 (Ex p) | 용기에 청정 공기나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가연성 가스 유입 방지 | Zone 1, 2 / 제어반 |
🛢 유입 방폭 (Ex o) | 내부에 절연유를 채워 점화원을 차단 | 기름 환경 |
🛡 안전증 방폭 (Ex e) | 구조적으로 점화 가능성을 낮춤 | Zone 2 / 단자함 등 |
🔌 본질안전 방폭 (Ex i) | 에너지 자체를 낮게 설계해 점화 불가 | Zone 0, 1, 2 / 센서, 계측기 |
🚫 비점화 방폭 (Ex n) | 점화원을 제거하여 방폭 | Zone 2 / 비정상 상황 보호 |
🧊 몰드 방폭 | 전기 회로를 수지로 밀봉 | 특수 환경 |
🧪 충전 방폭 | 폭발성 가스를 제거하고 안전 가스로 대체 | 밀폐 환경 |
🛠 특수 방폭 (Ex s) | 표준 외 특수 구조 적용 | 특수 목적 기기 |
🌫 방진 방폭 (Ex tD) | 분진 폭발 방지 설계 | 분진 발생 장소 |
Zone 0 | 폭발성 분위기 지속 존재 | Ga | 매우 높은 보호 |
Zone 1 | 간헐적으로 존재 | Gb | 높은 보호 |
Zone 2 | 드물게 존재 | Gc | 일반 보호 |
Zone 20 | 가연성 먼지 지속 | Da | 매우 높은 보호 (분진용) |
Zone 21 | 먼지 간헐 존재 | Db | 높은 보호 |
Zone 22 | 먼지 드물게 존재 | Dc | 일반 보호 |
450 초과 | G1 | T1 |
300~450 | G2 | T2 |
200~300 | G3 | T3 |
135~200 | G4 | T4 |
100~135 | G5 | T5 |
85~100 | G6 | T6 |
📌 T6 등급이 가장 낮은 온도로 가장 안전합니다.
방폭 기기를 선택할 때는 해당 지역 가스의 발화점보다 낮은 표면온도 등급을 가진 기기를 사용해야 해요.
🔬 최대안전틈새 (MESG) | 등급별로 구분 (IIA > IIB > IIC) |
🌡 온도 등급 | T1~T6 (낮을수록 안전) |
🔥 가스별 특성 | 발화도, 폭발등급 확인 필수 |
🌡 설치 환경 | 온도 20 |
🧱 적절한 구조 선택 | 용도와 구역별로 다른 구조 필요 |
🛠 정기 점검 및 유지보수 | 성능 유지를 위해 필수 |
✅ 인증 제품 사용 | 신뢰할 수 있는 인증 마크 확인 (ATEX, IECEx 등) |
정전기와 방폭, 모두 보이지 않는 위험이지만 그 파급력은 엄청납니다.
정확한 구역 분석, 적절한 방폭 구조 선택, 정기 점검이
사고 예방의 핵심입니다! 🦺
📣 방폭에 대해 더 궁금한 점 있으신가요?
댓글로 남겨주시면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볼게요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0. 정전기 재해 관리)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0. 정전기 재해 관리)
정전기 위험 요소 파악 🌡 정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요인설명예시💧 습도습도가 낮을수록 정전기 발생 증가건조한 겨울철에 '딱!'🧵 재료 종류재료 성질에 따라 대전 정도 달라짐아세
parkinman.com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5 화공안전 비상조치 계획, 대응) (0) | 2025.03.22 |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4 화학물질 안전관리 실행) (0) | 2025.03.21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3 화재, 폭발 검토) (0) | 2025.03.20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2 전기 설비 위험 요인 관리) (0) | 2025.03.19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0. 정전기 재해 관리) (2) | 2025.03.17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9 감전재해 및 방지대책) (2) | 2025.03.16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8 전기안전관리) (0) | 2025.03.15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7 설비 진단 검사) (2)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