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정의 | 물질이 산소와 급격히 결합해 열과 빛을 내는 현상 |
🧪 화학적 측면 | 가연물 + 산소 → 산화 반응 |
🌡 에너지 측면 | 발열반응으로 온도 상승 |
🔁 생성물 | 이산화탄소, 물, 산화물 등 |
🔄 변화 종류 | 화학적 변화 |
🔥 필요 조건 | 연소 3요소: 가연물, 산소, 열 |
♻️ 지속 조건 | 연소 4요소: 가연물, 산소, 열, 연쇄반응 |
🌡 인화점 | 불이 붙을 수 있는 최저 온도 (점화원 필요) |
🔥 발화점 | 스스로 불이 붙는 최저 온도 (점화원 불필요) |
🧯 연소의 분류 |
아세틸렌 | 2.5 | 81.0 | 🔴 31.4 |
수소 | 4.0 | 75.0 | 🔴 17.75 |
메탄 | 5.0 | 15.0 | 🟡 2.0 |
프로판 | 2.1 | 9.5 | 🟡 3.52 |
휘발유 | 1.4 | 7.6 | 🟡 4.43 |
폭발 범위가 넓을수록, 위험도(H)가 높을수록 더 위험합니다!
🌡 온도 상승 | LEL ↓, UEL ↑ → 폭발 범위 확대 |
📈 압력 증가 | UEL ↑ |
🧪 산소 농도 ↑ | UEL 크게 증가 |
🌫 불활성 가스 | LEL ↑, UEL ↓ → 폭발 범위 축소 |
🟩 A급 | 종이, 목재 등 | 가연물 관리, 구조물 격리 |
🟨 B급 | 유류, 가스 | 누출 방지, 환기 유지 |
🟦 C급 | 전기설비 | 정기 점검, 과부하 방지 |
🟥 D급 | 금속 | 금속 분진 제어, 특수 소화기 |
🍳 K급 | 식용유 | 자동소화기, 환기 필수 |
🔧 제거소화 | 가연물 제거 | 가스 차단, 벌목 등 |
⛔ 질식소화 | 산소 차단 | 포소화기, CO₂ 소화기 |
💧 냉각소화 | 온도 낮추기 | 물, 분무 냉각 시스템 |
🧬 억제소화 | 연쇄반응 차단 | 분말, 할론계 소화기 |
🔥 분말 | A, B, C급 | 범용, 효과 빠름 | 잔여물 청소 필요 |
❄️ CO₂ | B, C급 | 전기용 적합 | 질식, 동상 주의 |
🧴 포말 | A, B급 | 유류 화재 적합 | 전기 화재 X |
🧊 할론 | 전등급 | 잔여물 없음 | 환경 규제 대상 |
🍳 K급 | 주방 전용 | 식용유 화재 전용 | 일반 화재 부적합 |
속도 | 0.1~10 m/s | 💥 1,000~3,500 m/s |
압력 | 완만 | 급격 상승 |
원인 | 점화, 열전달 | 충격파, 자동 발화 |
위험성 | 유해가스, 화염 | 건물 파괴, 충격파 피해 |
✅ 연료 + 산소 + 점화원 + (밀폐공간)
예시:
🎛 가스 농도 모니터링 | 감지기 설치, LEL 25% 이하 유지 |
💨 환기 | 폭발범위 도달 방지 |
🧪 불활성화 | N₂, CO₂로 산소 농도 ↓ |
🔧 누출 방지 | 정기 점검, 누설 확인 |
🔥 농도 제어 | LEL 이하 유지, 산소 제어 |
🧾 작업 관리 | 화기작업 허가제 운영 |
기둥·보 | 50mm 이상 콘크리트, 또는 내화시험 기준 |
지지대 | 30cm 이상 노출 시, 내화 1시간 이상 |
배관 지지대 | 150mm 이상 배관에 내화 적용 |
💥 폭발 방산 | 파열판, 방산문 | 저장탱크, 건물 |
🧯 폭발 억제 | 압력감지 → 소화약제 분사 | 밀폐설비 |
🧱 폭발 봉쇄 | 구조 강화 (1.5배 압력 견딤) | 독성물질 설비 |
🧪 불활성화 | 산소 14% 이하 유지 | 반응기, 탱크 |
🔌 방폭구조 | 전기설비 방폭화 | 위험구역 |
🧹 분진 제거 | 집진기, 습식 처리 | 분진 공정 |
📢 가스 감지 | 경보 시스템 연동 | 저장소, 취급시설 |
⚡ 정전기 방지 | 접지, 본딩, 가습 등 | 인화성 물질 처리 구역 |
🔄 혼합가스 | 불꽃방지기, 가스감지기, 환기 |
🌪 분진폭발 | 정전기 제거, 분진제거, 습도 관리 |
💣 기타폭발 | 압력용기 검사, 파열판 설치, 긴급냉각 시스템 |
📌 정리하며
산업 현장에서의 화재 및 폭발은 인명과 자산에 큰 위협입니다.
하지만 기본 원리 이해 + 적절한 예방 대책만 갖추면 충분히 방지 가능합니다.
모든 시설은 정기 점검과 함께 안전수칙 준수를 습관화합시다! 🦺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블로그에서 더 깊이 있는 내용을 다룰게요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2 전기 설비 위험 요인 관리)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2 전기 설비 위험 요인 관리)
🔥 전기화재·폭발의 주요 원인📂 분류📌 세부 원인🔍 설명⚡ 전기적 원인과전류전선 허용 전류 초과 → 발열 🔥 단락(합선)피복 손상 → 비정상 전류 흐름 누전절연 손상 → 전류 누설🛠
parkinman.com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7 건설공사 특성 분석) (3) | 2025.03.24 |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6 화공 안전 운전, 점검) (0) | 2025.03.23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5 화공안전 비상조치 계획, 대응) (0) | 2025.03.22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4 화학물질 안전관리 실행) (0) | 2025.03.21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2 전기 설비 위험 요인 관리) (0) | 2025.03.19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1 전기 방폭 관리) (2) | 2025.03.18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0. 정전기 재해 관리) (2) | 2025.03.17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19 감전재해 및 방지대책) (2)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