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9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관리)

산업안전기사

by Park In Man 2025. 3. 26. 07:02

본문

반응형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규정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계상 및 사용

출처: 건설업 산업안전 보건 관리비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주요 항목

1. 👷 안전관리자 • 보건관리자의 임금 등

  •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의 임금 및 각종 업무수당

2. 🛠️ 안전시설비 및 스마트 안전장비

  • 안전난간, 추락방호망, 방호장치 등 구입/임대/설치비용
  • 스마트 안전장비(2025년: 구입/임대비 70% 지원, 2026년: 전액 지원 / 단, 관리비의 10% 이내)

3. 🧤 개인보호구

  • 안전대, 안전모, 안전화, 보안경, 보안면, 마스크, 귀덮개 등

4. 🔎 안전보건진단비

  •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 작업환경측정, 전문기관의 진단 • 검사 • 지도비용

5. 🎓 안전보건교육비

  • 정기교육, 응급처치 교육 (예: 심폐소생술 등)

6. ❤️ 근로자 건강관리비

  • 건강진단비
  • 자동심장충격기(AED) 구입비

7. 🧑‍🏫 건설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지도 비용

  • 법 제73조, 제74조에 따른 기술지도비

8. 🏢 본사 안전전담부서 운영비

  • 3인 이상 전담조직의 인건비 및 출장비 (관리비 총액의 1/20 이내)

❌ 사용 불가 항목 정리

🔸 안전 • 보건관리자 인건비 (다음의 경우 제외)

  • 전담자 미선임, 신고 미이행, 자격 미달 시
  • 복리후생비(사택, 급식, 학자금 등)
  • 축하금, 격려금, 선물비 등

🔸 안전시설비 관련

  • 공사 수행 목적의 가설시설, 작업발판, 사다리 등
  • 가설울타리, 통신설비

🔸 개인보호구 관련

  • 인증대상 아닌 장구류 (턱끈, 각반 등)
  • 안전관리자 차량 렌탈비

🔸 안전진단 및 교육 관련

  • 타법에 의한 검사비
  • 안전관리계획서 • 대장 작성비
  • 과도한 행사비 (기도비, 안전기원제 등)

🔸 건강관리비

  •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비
  • 재해 직후 병원 이송비용

🔸 기술지도비

  • 자기공사자가 아닌 자의 지도비
  •  

🧮 산업 안전 보건 계상 기준은 어떻게 정해질까?

건설업에서 사용하는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공사 금액(대상액)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계산합니다.

💰 대상액 규모🧾 계상 방법
5억 원 미만 대상액 × 별표1의 비율
5억 원 이상 ~ 50억 원 미만 (대상액 × 별표1 비율) + 기초액
50억 원 이상 대상액 × 별표1의 비율
대상액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총 공사금액의 70% × 별표1의 비율
🔎 Tip:
  • "별표1 비율"은 고용노동부 고시에 명시된 업종별·공종별 비율입니다.
  • 기초액은 일정 수준의 기본 안전관리를 위한 고정비로 설정됩니다.

 

🛠️ 공정률별 안전관리비 사용 기준

공정률 사용 기준
20% 미만 계상액의 10% 이상
20~40% 미만 계상액의 30% 이상
40~60% 미만 계상액의 55% 이상
60~80% 미만 계상액의 75% 이상
80% 이상 계상액의 90% 이상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8 건설공사 위험성)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8 건설공사 위험성)

🏗️ 건설공사 유해·위험 요인 파악 가이드📌 토공계획이란?✅ 목적현황고와 계획고를 비교하여 작업된 토사량을 구역별로 산출합니다.🧰 준비물📸 GCP 마킹 후 촬영한 현장 사진📂 계획고

parkinman.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