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의 안전을 책임지는 가설물 설치와 관리! 오늘은 비계, 거푸집, 작업통로, 흙막이 등 주요 가시설물에 대한 기준과 안전조치 사항을 정리해드립니다.
🔩 강관비계 | 강관으로 구성, 가장 일반적인 형태 | 기둥 간격: 띠장방향 1.85m 이하, 장선방향 1.5m 이하 |
🛠️ 시스템비계 | 규격화된 부재로 조립, 설치·해체 용이 | KS F 8021 및 안전인증기준 적합 |
🔧 강관틀비계 | 틀 구조로 안정성 높음 | KS F 8003 기준 적합 |
🚧 이동식비계 | 바퀴 장착으로 이동 가능 | 높이 제한: 밑변의 4배 이하, 발판 전면 설치 |
🪝 달비계 | 구조물에 매달아 사용 | 와이어로프 안전율 10 이상 |
🪜 말비계 | 도배·마무리작업에 사용 | 기울기 75도 이하, 미끄럼 방지장치 필요 |
🌲 통나무비계 | 전통형 비계, 현재 거의 사용 안 함 | 높이 12m 이하 사용, 간격 2.5m 이하 |
🪵 가설통로 | 0~30° | 경사 15° 초과 시 미끄럼 방지, 난간 설치 |
🛣️ 경사로 | 0~20° | 손잡이 설치 조건 하에 30°까지 허용 |
🪜 계단 | 20~45° | 폭 1m 이상, 3m마다 계단참 |
🪜 발판사다리 | 45~75° | 5m마다 계단참 설치, 간격 일정 유지 |
🧗 고정식 사다리 | 75~90° | 7m 이상 시 등받이울 설치 필요 |
📐 지중경사계 | 배면 지반 | 수평 변위 |
💧 지하수위계 | 배면 지반 | 수위 변화 |
📊 간극수압계 | 연약지반 | 수압 변화 |
🧱 토압계 | 토류벽 | 토압 측정 |
⚖️ 하중계 | 스트럿 부위 | 축하중 측정 |
📉 지표침하계 | 배면 또는 주변 | 침하량 측정 |
📌 정리하며 건설현장의 가시설물은 안전의 뿌리입니다. 각 설비의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우선하는 설계와 시공이 중요합니다. 현장의 크고 작은 사고는 사전 관리로 막을 수 있습니다.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30 건설현장 안전 관리 시설)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30 건설현장 안전 관리 시설)
1️⃣ 전문인력 이탈 & 외국인 노동자 관리 이슈👨🔧 전문인력 이탈로 인해 업무 연속성 및 기술 전수가 어려워짐🌍 외국인 노동자 비중 증가로 인한 언어장벽, 안전교육 이행 어려움 발생2
parkinman.com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 1과목 산업재해및 안전예방교육-2014년 2회) (0) | 2025.04.03 |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 1과목 산업재해및 안전예방교육-2014년 1회) (0) | 2025.04.01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32 공사 및 작업 종류별 안전) (0) | 2025.03.29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30 건설현장 안전 관리 시설) (0) | 2025.03.27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9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관리) (0) | 2025.03.26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8 건설공사 위험성) (2) | 2025.03.25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7 건설공사 특성 분석) (3) | 2025.03.24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준비!(챕터 26 화공 안전 운전, 점검)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