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내 지역 전설 이야기10

금산군 강장모랭이의 물귀신 강장모랭이는 금산군의 강가에 위치한 귀통나무 주변을 일컫는 이름입니다. 이곳은 예로부터 물이 소용돌이치며 흐르는 곳으로,많은 사람들이 이곳에서 목숨을 잃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역사적 내용 비 오는 어느 날, 금산 출신의 구암이라는 인물이 강장모랭이 근처를 지나가다가 미끄러져 깊은 강물에 빠지고 말았다.소용돌이치는 물살에 휩쓸린 그는 끝내 강에서 빠져나오지 못했고, 마을 사람들은 한참이 지나서야 그가 익사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사건 이후, 마을에는 구암의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지기 시작했다.흐린 날이나 밤에 강가를 지나는 사람들은 종종 구암이 부르는 듯한 소리를 들었다고 하였고, 강장모랭이 근처에서는 풍물소리가 울려 퍼지기도 했다.마을 사람들은 구암의 혼이 아직도 강에 머물러 있다고 믿었.. 2025. 7. 7.
조령(鳥嶺, 문경새재) 성황당(城隍堂, 서낭당)의 이야기 조령(鳥嶺, 흔히 문경새재로도 불림)은 예로부터 한양과 영남을 잇는 중요한 고갯길로, 이곳에는 성황당과 관찰사(도 단위 최고 지방관)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특히 조령을 넘는 이들에게 요구되던 의식과, 이를 둘러싼 관찰사의 일화가 대표적입니다. 조령을 넘는 사람들은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모두 고개에 있는 사당에 들러 절을 하고 재물을 내어 올리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는 "고개를 넘는 자 중 공양하지 않으면 반드시 화를 입는다"는 속설 때문이었습니다 어느 날, 경상도 관찰사가 이 풍습을 미신이라 여기고 이를 무시하며 사당에 들르지 않고 계속 길을 가자, 주변 관리들과 수행원들이 만류했으나 관찰사는 오히려 사당을 불태워버리라고 명령합니다. 사당은 순식간에 불타 무너졌고, 관찰사는 "백성.. 2025. 7. 4.
용인의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 최유경 선생의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산1-1, 고매로131번길 17-7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대표적 무덤 유적입니다. 이 묘역은 2003년 4월 21일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20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도 전주최씨 평도공 종중이 소유·관리하고 있습니다.최유경(崔有慶, 1343~ 1413)의 생거진천 사거용인 고려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조선 개국공신으로, 한양성(숭례문) 축성 책임자이자 태종 때 청백리로 이름이 높았던 인물입니다. 그의 묘는 자봉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방형 쌍분 양식(두 개의 무덤이 나란히 놓인 형태)으로 조선 초기 분묘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묘역에는 묘표, 상석, 향로석, 장명등, 동자석, 문인석 등 전통 석물이 배치되어 있고, 입구에는 영덕재(사당)와 신도비가.. 2025. 7. 2.
신풍초등학교 고목 설화(수원시) 수원 신풍초등학교(옛 산풍초등학교)에는 오랜 세월을 견딘 고목(잣나무 또는 은행나무)을 둘러싼 다양한 전설과괴담이 전해집니다.대표적인 이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무기 전설:학교 운동장 한가운데 있던 고목을 베자 그 속에서 이무기가 튀어나왔고, 이 이무기를 죽였더니 이후로 학교에 각종 불운과 괴담이 이어졌다는 내용입니다. 이 고목은 원래 정조대왕의 사당인 화령전 뒤에 심어진 신성한 나무였다고 전해지며, 함부로 베어 화를 불렀다는 해석이 덧붙여집니다. 빗자루 귀신과 달걀귀신:고목에는 빗자루 귀신이 산다는 소문이 있어, 비 오는 밤이면 빗자루를 들고 운동장을 돌아다닌다는 괴담이 학생들 사이에 퍼졌습니다. 또한 변소 근처에서 얼굴이 하얗고 눈·코·입이 없는 달걀귀신을 봤다는 이야기도 전해져, 학생들은 밤에 학.. 2025. 6. 19.
홍랑각시 설화(화성시)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홍법리에 전해 내려오는 홍랑아씨(홍랑각시) 이야기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희생과 영험의 전설입니다. 이 설화는 임진왜란 이후 조선이 명나라의 압박을 받던 시절, 한 여인의 고귀한 선택과 그 넋이 보살로 남게 된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이야기 내용 임진왜란이 끝난 뒤, 명나라 사신이 조선에 와 황제의 후궁으로 바칠 미녀를 요구합니다. “만약 처녀를 내놓지 않으면 마을을 폐촌시키고 삼족을 멸하겠다”는 위협에 마을은 공포에 휩싸입니다.마을에서 가장 아름답기로 소문난 홍만석의 딸, 홍랑이 결국 공녀로 지목됩니다. 홍랑은 마을과 가족을 살리기 위해 스스로 희생을 결심합니다. 대신, 고향의 모래와 대추, 물을 서 말(한 되의 세 배)씩 가져가게 해달라고 부탁합니다.명나라로 끌려간 홍랑은 황제의 후궁.. 2025. 6. 17.
남양 애기묘 이야기 (화성시) ‘남양 애기묘 이야기’는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괘랑3리에서 1980년 채록된 풍수 명당과 관련된 대표적인 설화입니다. 이 이야기는 지술(풍수)에 뛰어난 한 전라도 사람이 부귀영화와 자손의 번영을 위해 전국을 돌며 명당을 찾다가, 경기도 남양의 ‘애기능’ 자리가 금계포란형(錦鷄抱卵形) 명당임을 알아보고 아버지의 묘를 이장하려 했던 일화에 기반합니다.이 전라도 사람은 고향으로 내려가 아버지의 산소를 파헤쳐 시신의 목을 꺼내 궤짝에 담아 남양까지 밤낮없이 올라왔으나, 이미 애기능에는 다른 집안이 묘를 쓴 뒤였습니다. 그는 명당을 차지하지 못한 채, 근처에서 그저 ‘밥은 굶지 않을 만한’ 자리만을 찾아 아버지의 머리를 묻었습니다. 설화는 “땅에는 반드시 임자가 있다”는 교훈과, 지나친 명당 욕심이나 패륜적 행위.. 2025.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