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 남양 애기묘 이야기 (화성시) ‘남양 애기묘 이야기’는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괘랑3리에서 1980년 채록된 풍수 명당과 관련된 대표적인 설화입니다. 이 이야기는 지술(풍수)에 뛰어난 한 전라도 사람이 부귀영화와 자손의 번영을 위해 전국을 돌며 명당을 찾다가, 경기도 남양의 ‘애기능’ 자리가 금계포란형(錦鷄抱卵形) 명당임을 알아보고 아버지의 묘를 이장하려 했던 일화에 기반합니다.이 전라도 사람은 고향으로 내려가 아버지의 산소를 파헤쳐 시신의 목을 꺼내 궤짝에 담아 남양까지 밤낮없이 올라왔으나, 이미 애기능에는 다른 집안이 묘를 쓴 뒤였습니다. 그는 명당을 차지하지 못한 채, 근처에서 그저 ‘밥은 굶지 않을 만한’ 자리만을 찾아 아버지의 머리를 묻었습니다. 설화는 “땅에는 반드시 임자가 있다”는 교훈과, 지나친 명당 욕심이나 패륜적 행위.. 2025. 6. 11. 지네산의 산신(화성시) 지네산(덕목리 보금산이라고도 불림)은 왜적이 침입했을 때 주민들이 산으로 피신하여 싸우던 중, 위기에 몰리자 갑자기 산 아래에서 거대한 지네들이 나타나 독을 내뿜어 왜적을 물리쳤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지네들은 단순한 동물이 아니라, 마을을 지키는 산신이자 수호신의 성격을 가진 신령한 존재로 여겨집니다. 주민들은 지네산에 산제를 지내며 이 산신의 보호를 기원해 왔습니다. 지네산 전설 옛날, 임진왜란 무렵 왜적이 육포(六浦)라는 포구를 통해 이 지역을 침입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급히 지네산 꼭대기로 피신했고, 산 아래에서 왜적과 치열하게 싸웠습니다. 주민들은 산성처럼 돌을 쌓아 방어하고, 돌을 굴려가며 저항했지만, 적의 수가 많아 점점 밀리게 되었습니다.이때 갑자기 산 아래에서 엄청난 수의 지네들이 나타나.. 2025. 6. 10. 방아못 전설 (화성시)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귀래리에는 아주 특별한 전설이 내려오고 있습니다. 바로 ‘방아못 전설’입니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옛날이야기가 아니라, 선행과 악행, 그리고 금기를 어긴 결과에 대한 깊은 교훈을 담고 있어 오랫동안 지역민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왔습니다.인색한 부자와 따뜻한 며느리옛날 귀래리에는 마음씨가 몹시 인색한 부자가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한 스님이 시주를 청하러 찾아오자 부자는 스님의 표주박에 쇠똥을 퍼주며 모욕을 줍니다. 이 모습을 본 며느리는 안타까운 마음에 표주박을 깨끗이 씻고 쌀을 담아 스님에게 건넸죠. 스님은 며느리의 선행에 감동을 받고, “이 집에는 곧 큰 재앙이 닥칠 테니 살고 싶으면 나를 따라오라. 절대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일러줍니다. 금기를 어긴 며느리와 방아못.. 2025. 6. 9. 귀신을 쫓은 남이장군 이야기(화성시) 화성시 비봉면 남전리에는 조선 전기의 명장 남이(南怡, 1441~1468) 장군의 묘가 있습니다. 남이 장군은 뛰어난 무공과 비범한 능력으로 이름을 떨쳤으나, 억울하게 역모에 연루되어 27세의 젊은 나이에 참형을 당한 비운의 인물로, 그의 삶과 죽음에는 다양한 설화와 귀신 이야기가 얽혀 있습니다 남이장군 설화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귀신을 쫓아내 권람의 딸을 살린 이야기’입니다. 다음은 이 설화의 주요 내용입니다. 권람의 딸이 알 수 없는 병에 걸려 죽어가고 있었다. 어느 날 남이 장군은 우연히 하인이 이고 가는 보자기 위에 하얀 얼굴을 한 사악한 귀신이 앉아 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남이 장군은 이를 수상히 여겨 그 하인을 따라 권람의 집으로 들어가게 된다.남이 장군이 처녀의 방에 들어가 .. 2025. 6. 8. 쌍봉산(雙峰山)의 전설(화성 시) 이 산에는 아주 먼 옛날부터 전해오는 전설이 있다. 남쪽 지방 어느 산골에 밤낮을 가리지 않고 나쁜 짓을 일삼던 마귀가 득실거리는 소굴이 있었다. 그런데 여기에서 살고 있던 마귀할멈 하나가 마귀소굴에서는 마귀들끼리도 아비규환을 이루고 있어 먹고 살 수 없다고 생각해 그곳을 뛰쳐나왔다. 마귀할멈은 인심 좋고 먹을 것 많기로 소문난 한양으로 향했다. 그런데 이 마귀할멈은 가는 곳마다 못된 짓만 골라 했다. 부잣집 아들이 놀고 있는 것을 보고 공연히 심술이 나 슬쩍 머리를 쓰다듬는척하곤 병을 주었다. 아이가 인사불성이 되어 자리에 눕자 부모는 무꾸리(무당에게 길흉을 점치는 일)를 하고 음식과 떡과 죽을 차려빌었다. 마귀할멈은 죽만 실컷 얻어먹고 아이는 내버려 둔 채 다른 곳으로 옮겨갔다. 한양으로 가는 길에 .. 2025. 6. 4. 고종의 대한제국 건설 과정과 그 한계 알아보기 고종의 대한제국 건설 과정과 그 한계 알아보기는 고종 황제가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조선 말기에 추진한 근대화 시도와 그에 따른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주제입니다. 당시 고종은 외세의 압력과 내부의 혼란 속에서 자주적 국가 건설을 꿈꾸었으나 여러 한계와 장애물에 직면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종의 대한제국 건설 배경, 주요 정책, 그리고 그 한계점을 자세히 살펴보며 역사적 의미를 조명해 보겠습니다.대한제국 선포와 근대 국가 건설 의지고종은 1897년 조선을 대한제국으로 선포하며 황제의 지위를 선언하였습니다. 이는 청나라의 쇠퇴와 일본, 러시아 등의 열강이 한반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던 상황에서 국가의 자주권을 강화하려는 의지의 표현이었습니다.황제 즉위는 외교적 위상을 높이고 내정 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상징적.. 2025. 5. 30.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